[12월 9일 마케팅 뉴스클리핑] 구글, 모바일 시장서 네이버 추격 가속화 외
[12월 9일 마케팅 뉴스클리핑] 구글, 모바일 시장서 네이버 추격 가속화 외
1. 구글, 한국 모바일 시장서 네이버 추격 가속화
구글이 한국 모바일 시장에서 MAU 3681만 명을 기록하며 네이버(4336만 명)와의 격차를 줄였다. 유튜브와 크롬 등 다양한 구글 서비스의 국내 모바일 시장 영향력이 커지는 양상에서 검색 서비스 분야에서도 구글이 영향력 확대 중이다.
2. 케이블TV와 TV홈쇼핑, 수수료 갈등 속 양쪽 위기 심화
OTT와 모바일 쇼핑 성장으로 케이블TV와 TV홈쇼핑이 역성장 중이다. 케이블TV는 가입자 감소와 수수료 인하 압박으로, TV홈쇼핑은 증가하는 방송 수수료로 위기에 처했다. 최근 CJ온스타일은 방송수수료 인하를 요구하면서 딜라이브 등 3곳의 케이블TV에 방송 송출을 중단했다.
3. 티메프, 영업 재개로 반등 시도… 신뢰 회복이 관건
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를 초래한 티몬·위메프가 M&A를 위한 영업 재개를 서두르고 있다. 피해액은 약 1.3조 원, 신뢰 회복과 거래사 설득이 성공의 열쇠다. 티메프는 정산 주기를 70일에서 10일로 단축하고, 업계 최저 수준의 판매자 수수료를 책정할 계획이다.
4. 네이버페이 '반품안심케어', 판매 1억 건 돌파
네이버페이의 '반품안심케어'가 적용된 상품 누적 판매량이 1억 건을 돌파했다. 이 서비스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서 판매자가 상품 주문 건당 보험료 40∼490원을 내면 귀책사유와 관계없이 주문 건당 배송비 7천 원을 보상받을 수 있다.
5. AI 검색, 광고와 유료 모델로 수익 다변화 모색
오픈AI와 퍼플렉시티 등 빅테크가 AI 검색에 광고를 도입하며 수익모델을 확장하고 있다. 고가 구독 서비스와 광고가 주요 전략으로 부상 중이다. 오픈AI는 월 200달러 수준의 구독료를 내는 ‘o1 pro’ 모델을 공개했고, 퍼플렉시티는 질문 중 일부에 '협찬받은'이라고 표시된 광고를 게재한다.
6. 유통·물류업계, 정국 불안 속 정상 운영 총력
비상계엄 선포·해제 등으로 인한 정국 불안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연말 특수와 설 선물 예약 판매에 차질이 생길까 유통·물류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커머스와 물류 업계는 배송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정상 운영에 집중한다고 밝혔다.
7. 네이버 '빠른정산' 주목… 업계 도입은 부담 커
네이버의 '빠른정산' 서비스는 결제 후 3일 만에 대금을 지급해 소상공인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그러나 대량 환불 요청 등 예상치 못한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 기업이 모든 부담을 져야 하는 위험이 커 업계에서는 관련 서비스 도입을 꺼리고 있다.
댓글
해외선물 정보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Austan Goolsbee 시카고 연은 총재(비둘기파, 투표권 있음)
1월 15일 기준 연준 전체 자산 규모는 전주 대비 195억달러 감소한 6조 8,341억달러.

[뉴욕증시 하락]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01월 16일 국내 증시 마감시황]
📮 25년 1월 16일 목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01월 16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2025년 1월 16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뉴욕증시 상승]
[01월 15일 국내 증시 마감시황]
📮 25년 1월 15일 수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2025년 01월 15일 [수]
SK하이닉스, 엔비디아에 'HBM4' 조기 공급...6월 샘플·10월 양산할 듯
틱톡, 일요일 미국 내 즉각적인 서비스 종료 준비 - The Information
채권시장에 대한 추가 집중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