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대신증권 FICC리서치부에서 시황/전략을 담당하고 있는 이경민입니다.
안녕하세요, 대신증권 FICC리서치부에서 시황/전략을 담당하고 있는 이경민입니다.
[4월 15일 주요국 이슈] 보내드립니다.
# 미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일부 자동차 업체에 대한 일시적 관세 면제 검토 언급. 캐나다·멕시코산 부품→미국 생산 전환 중인 업체들 “시간 더 필요” 발언. 현재 자동차는 관세 4월 3일 발효된 반면 엔진·변속기 등 핵심 부품은 5월 3일 이후 적용 예정. 한편, 애플 제품 등 스마트폰·노트북, 관세국경보호청 통해 한시적 관세 면제에 대해 팀 쿡과 대화 언급. 의약품 품목별 관세 또한 도입 예고하며 “관세 많을수록 미국 복귀 빨라진다” 주장, 중국·베트남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미국 경제 약화 의도”라고 비판
크리스토퍼 월러 미 연준 이사, 트럼프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 ‘일시적(transitory)’일 것이라 평가. 관세 강도에 따라 인플레이션 3~5%까지 일시 상승 후 성장 둔화·실업 증가로 안정 예상. 관세 규모와 무관하게 금리 인하 필요, 강한 관세 시 경기 부양 위한 조기 인하 가능성, 약한 관세 시 연내 '호재 인하' 여지. 2021년 인플레 예측 실패 사례 인정하나, 이번엔 상황 다르다고 주장. 트럼프 관세 목적, 구조 재편 또는 협상용 가능성 제시하며 연준의 유연한 정책 대응 강조.
엔비디아, TSMC 등과 협력해 향후 4년간 미국에 최대 5,000억 달러 규모 AI 인프라 구축 계획 발표. 엔비디아, TSMC 애리조나 공장에서 블랙웰 칩 생산 개시 및 미국 내 슈퍼컴퓨터 제조시설 12~15개월 내 생산 확대 예정. 젠슨 황 CEO, 미국 생산 확대 통해 AI 수요 대응 및 공급망 회복력 강화 강조. TSMC, 미국 내 1,000억 달러 규모 신규 투자 계획 포함 5개 칩 공장 추가 건설 발표. 애플도 텍사스 공장 포함 미국에 5,000억 달러 투자 계획 밝혀 제조업 미국 이전 가속화 흐름 형성.
# 중국
중국 정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압박에 대응해 외교부·상무부 등 관계 부처에 '전시 체제' 돌입 지시. 대미 전담 부서 인력 충원, 공무원 휴가 취소 및 24시간 비상대기령 발령. 중국, EU·일본·한국 등 동맹국 포함 G20 대상 외교 공세 및 공동 성명 제안, 대미 연대 요청 서한 발송. 대내적으로 소비 진작 정책 추진, 미국산 농산물·영화 수입 제한 및 희토류 수출 규제 등 보복 조치 검토. 정부 관료들, 마오쩌둥 연설 영상 공유하며 반미 여론 결집 및 내수 중심 성장 전략 강조.
# 한국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14일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한국과 다음 주 무역 협상 예정 및 선제 협상국 유리 강조. "먼저 움직이는 자(first mover)에 이점 있다"며 조속한 합의가 최선 조건 가능성 시사. 상호관세 90일 유예 전 원칙적 합의 가능성 언급, 전통적 무역협정 아닌 간소화된 합의 형태 전망. WSJ, 미국이 한국·영국·호주·인도·일본을 최우선 협상국으로 접촉 중이며 베선트가 협상 주도 보도. 백악관 케빈 해싯 위원장, 트럼프 관세 이후 10개국 이상이 미국에 무역 거래 제안했다 밝혀.
한국, 지난 1월 미국 에너지부에서 민감국가 리스트(SCL)에 지정한 조치 4월 15일부터 효력 발생 예정. 조치 발효 시, 한국 연구자 미국 연구소 출입에 사전 신원조회 및 최소 45일 전 자료 제출 필요. 미국 측 연구자 한국 방문 시에도 추가 보안 절차 적용, 한미 과학기술 협력 차질 우려 제기. 한국 정부, 지정 해제 목표로 실무 협의 진행 중이며 지난달 안덕근 장관 방미 후 협의 본격화. 미국 측, 과학기술 교류에 부정적 영향 없도록 하겠다는 입장 전달, 행정 절차상 시간 소요 전망.
# 기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4월 15일부터 7월 14일까지 미국산 상품 대상 보복관세 90일 보류 결정 이행법 채택. 결정 배경,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에 대한 상응 조치. 원안 계획, 총 210억 유로 규모 미국산 제품에 대해 3단계에 걸친 10~25% 추가 관세 부과 예정. EU·미국, 관세 협상 개시일에 맞춰 마로시 셰프초비치 집행위원 미국 워싱턴DC 방문해 협상 참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 협상 불발 시 보복관세 발동 경고 및 대응조치 준비 지속 강조.
OPEC, 4월 월간 보고서에서 2025년 세계 석유 수요 증가 전망 1,300만 배럴/일로 하향 조정, 전월 대비 15만 배럴 감소. 하향 조정 배경, 1분기 수요 데이터 및 미국의 무역 관세 발표에 따른 불확실성 반영.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도 2025년 3.0%, 2026년 3.1%로 각각 0.1%p 하향 조정. 3월 OPEC+ 전체 산유량 3만7천 배럴 감소한 반면, 카자흐스탄은 감산 목표 초과하며 1.852백만 배럴 생산. 카자흐스탄 에너지부, 4월부터 감산 이행 및 초과 생산 일부 보상 계획 발표.
# 경제지표
중국 3월 수출액(YoY): 12.4% (예측치: 4.4% / 이전치: 2.3%)
중국 3월 수입액(YoY): -4.3% (예측치: -2.0% / 이전치: -8.4%)
댓글
해외선물 정보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매-세-지, 4월 10일)
'관세 유예' 안도감에 코스피·코스닥 5% '불기둥'
트럼프 "중국 빼고 관세 유예"…일본 8% 대만 9%↑ [Asia오전]
4월 10일 시황. 관세 유예에 급등. 하루전 나왔던 조짐들
[모닝와이드] 오늘의 주요뉴스
[해외선물 기초] 추세 그리고 지지와 저항 이해하기
![[해외선물 기초] 추세 그리고 지지와 저항 이해하기](/upload/65e7bcf81a0748e6a7d8b12c566cf10a.webp?thumbnail)